처음 접한 프로그래밍
C언어를 통해 대학교에서 개발을 처음으로 접했다. 처음에 봤을 때는 이게 뭔가 싶어서 신기하기도 했지만 복잡한 코드들이 여기저기 보이면서 한편으로는 거부감도 적지 않았다. 그 당시만 해도 나는 개발에 완전 문외한이었다. 사실상 문과생이나 다름없었다. 교내 팀 프로젝트 때문에 배워야 하는 C언어였지만 지금처럼 코딩을 많이 하지는 않았다. 내 전공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공부해야 하는 과였기 때문에 나는 선택을 해야 했다. 하드웨어 쪽은 영 나랑 맞지가 않았고 그나마 조금 이해가 되는 소프트웨어를 선택해서 진로를 찾아보면 어떨까 고민을 했었다. 하지만 그 길도 만만치가 않았다. 지금이야 기본적인 문법과 코딩이 이해가 된다고 하지만 그 당시에는 기본적인 것도 제대로 모르고 막연하게 코딩했으니 프로젝트 진행에 꽤나 애를 많이 먹었다. 그렇게 이 분야는 나와 맞지 않는구나 라고 생각하며 졸업을 눈앞에 두고 취업준비에 돌입했다.
개발과는 안녕?
전공과는 다른 일을 전전하며 어떻게든 사회생활을 잘해보려고 했으나 생각보다 쉽지가 않았다. 교육 분야 쪽에서 일을 하려고 했지만 생각만큼 나와 맞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약간 충격이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또한 내가 개발을 하기 위한 하나의 밑거름이었는지도 모를 일이다. 어쨌든 나는 다니던 일을 그만두고 빅데이터로 취업할 수 있는 교육기관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졸업 프로젝트 이후에 개발을 안 한지는 좀 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다시 개발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한편으로는 기대가 됐다. 돌이켜 보면 막연한 기대였다. 그래도 취업을 다시 할 수 있다는 기회가 생겼다는 것에 만족했다.
처음엔 좋았지만 가면 갈수록 산 넘어 산…
빅데이터는 처음 공부하는 분야인지라 많이 낯설기는 했지만 그래도 코딩 비슷한 걸 하기에 처음에는 잘 적응하나 싶었다. R과 Python을 위주로 교육을 받았는데 점점 갈수록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코드만 따라치는 것도 벅찼다. 이해는 커녕 따라가기에 바빴으니 빅데이터는 둘째 치고 과제 수행과 기본 문법을 공부하는 것조차 쉽지가 않았다. 교육 특성상 몇 개월 안에 끝내야 했기에 진도가 빠르게 진행될 수밖에 없었고 결국 언어에 대한 이해보다 실습을 통해서 스스로 이해한 다음 개념을 직접 응용해서 진도를 나가는 수밖에 없었다. 거기에 더해 SQL, NoSQL, AWS, Linux 까지 같이 공부하다 보니 점점 더 머릿속이 복잡해졌다. 그때만 해도 데이터베이스나 클라우드, Linux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여서 여러 지식과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 자체가 엄청난 고역이었다. 모르는 게 산더미처럼 들어오니 수업이 끝나고 나면 지칠대로 지쳐서 아무것도 하기가 싫었다. 결국 버티지 못한 나는 중도에 하차를 했다. 빅데이터를 제대로 공부한 것인지 아니면 R, Python 언어를 제대로 공부한 것인지 구분이 안 될 만큼 지식에 난도질 당한 느낌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아직 개발에 대한 근육도 없었던 터라 정신적으로 엄청나게 뻐근하고 피로한 상태였다.
그렇게 개발과는 Bye Bye??
그 이후에는 계속 쉬기만 했다. 나이는 나이대로 먹어가는데 좀처럼 활로가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그 와중에 개발공부는 조금씩 하고 있었다. 막상 밑바닥에 있다보니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게 개발이라는 것을 그제서야 깨달았다. 그렇게 시간을 보내고 있던 어느 날 우연히 경기산업기술교육센터라는 곳에서 IoT 교육을 진행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나는 지원서를 작성했고 곧바로 교육기관에서 연락이 왔다. 근데 아무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게 아니었다. 면접을 통해서 교육 수료가 가능한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고 했다. 나는 면접을 보러 갔고 결과는 합격이었다.개발과는 담을 쌓고 살기로 결심한 졸업생이 개발을 통해 취업 기회를 잡았으니 얼마나 아이러니한 상황인가. 그렇게 합격을 하고 본격적으로 교육을 듣기 시작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