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TTP와 HTTPS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
•
특징: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고 평문으로 전송된다.
HTTPS (HTTP Secure)
•
HTTP + SSL/TLS 계층이 추가된 보안 버전이다.
•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중간에서 도청/위조/변조를 방지한다.
비유하자면 HTTP는 엽서처럼 누구나 내용을 들여다볼 수 있으나 HTTPS는 봉투에 담아 밀봉된 편지라고 생각하면 된다. 전달 중 내용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2. HTTP의 실무상 위험 요소
HTTP를 그대로 사용하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위험에 노출된다.
•
중간자 공격 (MITM):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나 쿠키가 노출될 수 있음
•
세션 하이재킹: 탈취된 세션 쿠키로 사용자가 된 척 할 수 있음
•
브라우저 경고: 크롬, 사파리 등에서 “보안되지 않음” 경고가 뜸
•
검색엔진 패널티: 구글은 HTTPS를 사용하는 사이트를 선호함
실제 사례:
한 중견 기업의 관리자 페이지가 HTTP로 노출돼, 네트워크 상에서 관리자 세션이 탈취되어 전체 데이터가 유출된 사례가 있음.
3. 실무 관점에서의 HTTP vs HTTPS 비교
항목 | HTTP | HTTPS |
데이터 전송 | 평문(Plain Text) | 암호화됨 (TLS/SSL) |
보안 | 도청, 위변조 가능 | 중간자 공격, 세션 탈취 방지 가능 |
인증서 | 필요 없음 | SSL/TLS 인증서 필요 |
브라우저 표시 | "주의 요함", 자물쇠 없음 | |
SEO 영향 | 낮음 | HTTPS 사이트가 더 높은 평가를 받음 |
성능 | 과거엔 느렸지만, 최근엔 차이 없음 | HTTP/2, TLS 1.3 덕분에 오히려 더 빠르기도 함 |
4. HTTPS 적용, 어렵지 않다
실무에서 HTTPS를 적용하는 건 생각보다 간단하다
(1) 무료 인증서 발급 - Let’s Encrypt
•
무료 & 자동 갱신 지원
•
대부분의 클라우드/서버 환경에서 지원
(2) Spring Boot에서 HTTPS 설정 예시
# application.yml
server:
ssl:
enabled: true
key-store: classpath:keystore.p12
key-store-password: your-password
key-store-type: PKCS12
key-alias: your-alias
YAML
복사
(3) Nginx에서 리버스 프록시 설정
server {
listen 443 ssl;
server_name yourdomain.com;
ssl_certificate /etc/ssl/cert.pem;
ssl_certificate_key /etc/ssl/key.pem;
location / {
proxy_pass http://localhost:8080;
}
}
YAML
복사
5. FAQ
•
HTTPS 쓰면 느려지는 거 아닌가?
◦
거의 차이가 없다. 최신 브라우저는 HTTP/2, TLS 1.3을 기본 지원하여 속도는 오히려 개선되는 경우도 있다.
•
로컬 개발 환경에서도 HTTPS를 써야 하나?
◦
필수는 아니지만, 테스트/스테이징 환경부터는 HTTPS로 일관성을 맞추는 것이 좋다.
•
인증서 비용이 부담된다
◦
무료 인증서인 Let’s Encrypt를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