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테스트코드의 중요성
•
테스트 코드는 실수를 바로잡아준다.
•
테스트 코드는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실제 코드 못지 않게 중요하다(테스트 코드 짜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함)
•
테스트 케이스는 변경이 쉽도록 해야 한다. 코드에 유연성, 유지보수성, 재사용성을 제공하는 버팀목이 바로 단위테스트이다. 테스트 케이스가 있으면 변경이 두렵지 않다. 테스트 케이스가 없다면 모든 변경이 잠정적인 버그다. 테스트 커버리지가 높을수록 버그에 대한 공포가 줄어든다.
•
지저분한 테스트 코드는 테스트를 안하는 것만도 못하다.
•
테스트는 자동화되어야 한다.
2. 테스트의 종류
•
Unit Test: 프로그램 내부의 개별 컴포넌트의 동작을 테스트한다. 배포하기 저에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많이 사용한다.
•
Integraion Test: 프로그램 내부의 개별 컴포넌트들을 합쳐서 동작을 테스트한다. Unit Test는 각 컴포넌트를 고립시켜 테스트하기 때문에 컴포넌트의 interaction을 확인하는 Integration Test가 필요하다.
•
E2E Test: End to End Test. 실제 유저의 시나리오대로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의 EndPoint를 호출해 테스트한다.
3. Unit Test 작성
Test Double
•
Stub
◦
원래의 구현을 최대한 단순한 것으로 대체한다.
◦
테스트를 위해 프로그래밍된 항목에만 응답한다.
•
Spy
◦
Stub의 역할을 하면서 호출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
◦
이메일 서비스에서 메세지가 몇 번 전송되는지 확인한다.
•
Mock
◦
행위를 검증하기 위해 가짜 객체를 만들어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
호출에 대한 동작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
Stub은 상태를 검증하고 Mock은 행위를 검증한다.
give-when-then 패턴을 사용하자
•
given: 테스트에 대한 pre-condition
•
when: 테스트하고 싶은 동작 호출
•
then: 테스트 결과 확인
Spring Boot Application Test 예제
•
ExampleController - main 코드
•
ExampleController - Unit Test
◦
PersonRepository mock 사용
◦
given-when-then 구조
◦
repository에서 값을 읽어왔을 때와 읽어오지 못했을 때 2가지 경우를 테스트
•
Integration Test(Database)
◦
PersonRepository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될 수 있는지 확인
◦
in-memory DB인 h2로 테스트
◦
findByLastName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
Integration Test(Service)
◦
WireMock을 이용해 mock 서버를 띄운다.
◦
client가 실제 서버가 아닌 mock 서버로 요청하게 하여 client 동작을 테스트한다.
4. FIRST 원칙
•
Fast: 빠르게
◦
테스트는 빨리 돌아야 한다. 자주 돌려야 하기 때문이다.
•
Independent: 독립적으로
◦
각 테스트를 독립적으로 작성한다. 서로에게 의존하면 실패한 원인을 찾기 어려워진다.
(다른 테스트의 실패로 인한건지, 코드 오류인지 확인 가능하도록 작성)
•
Repeatable: 반복가능하게
◦
테스트는 어떤 환경에서도 반복 가능해야 한다. 실제 환경, QA 환경, 모든 환경에서 돌아가야 한다.
•
Self-Validating: 자가검증하는
◦
테스트하려는 실제 코드를 구현하기 직전에 구현한다.
5. 오픈소스 속 Unit Test
Trino (PrestoSQL)
•
calculateLiteralValue를 테스트하고 있다.
•
호출과 동시에 assert로 결과값을 검증한다.
•
테스트 하나에 여러 assert가 사용된다. 책에서 권장하는 방식이 아니지만, ‘조건’을 달리하여 테스트 하는 경우 많이 사용된다.
•
테스트 클래스명이 Test로 시작한다. 원래 ~Test로 끝나는 게 일반적이다. 팀 간의 컨벤션이 일반적인 컨벤션보다 우선이다.
Junit5 Samples
•
@DisplayName은 테스트 클래스나 메서드에 보여질 이름을 입력하는 것이다. 테스트의 목적을 명확하게 작성할 수 있다.
•
@Parameterized Test는 하나의 테스트 메서드로 여러 가지 parameter를 테스트할 수 있다. @CsvSource의 값을 parameter로 넘긴다.
•
JUnit5가 테스트에 관한 유용한 기능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무에서 많이 사용한다.